오카모토 가즈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카모토 가즈마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로, 2015년부터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지벤가쿠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4번 타자로 활약했으며, 201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라운드 지명으로 입단했다. 2018년에는 3할-30홈런-100타점을 달성하며 주전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 홈런왕과 타점왕을 석권했다. 2022년에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고, 2023년에는 세 번째 홈런왕을 차지했다.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1루수로 활약하며 우승에 기여했다. 2024년에는 1루수 부문 베스트나인과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으며, 통산 200홈런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현 출신 야구 선수 - 마이클 나카무라
마이클 나카무라는 호주인 어머니와 일본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으며, 2006년 퍼시픽 리그 최다 세이브 투수를 기록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이후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 나라현 출신 야구 선수 - 에나쓰 유타카
에나쓰 유타카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활약한 좌완 투수로, 한신 타이거스, 난카이 호크스 등 여러 팀에서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활약하며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 은퇴 후에는 다양한 활동을 했으나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되기도 했다. - 나라현 출신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 나라현 출신 - 기무라 도쿠타로
기무라 도쿠타로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후 변호사, 검찰총장, 법무대신, 요시다 내각의 법무총재 및 방위청장관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며, 반공주의 활동과 전일본검도연맹 초대 회장으로서 검도 부흥에 기여했다.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사사키 로키
사사키 로키는 2001년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고교 시절 최고 구속 163km/h를 기록하고, 2019년 지바 롯데 마린스에 입단하여, 2022년 일본 프로야구 최연소 완봉승 기록을 세웠으며,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으로 우승에 기여했고, 202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도전을 승인받았다.
오카모토 가즈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카모토 가즈마 |
로마자 표기 | Kazuma Okamoto |
출생일 | 1996년 6월 30일 |
출생지 | 나라현 고조시 |
포지션 | 내야수, 외야수 |
키 | 186cm |
몸무게 | 100kg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프로 입단 연도 | 2014년 |
드래프트 순위 | 1순위 |
첫 출장 | 2015년 8월 28일 |
소속 구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등번호 | 25 |
연봉 | 5억 4000만 엔 (2025년) |
일본 프로 야구 (NPB) 정보 | |
데뷔 리그 | NPB |
데뷔일 | 2015년 8월 28일 |
데뷔 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통산 타율 (2023년) | 0.272 |
통산 안타 (2023년) | 857 |
통산 홈런 (2023년) | 206 |
통산 타점 (2023년) | 585 |
소속 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현재) |
수상 내역 | |
올스타 | 6× NPB 올스타 (–, –) |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 2019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
센트럴 리그 홈런왕 | 3× 센트럴 리그 홈런왕 (, 2021, 2023) |
센트럴 리그 타점왕 | 2× 센트럴 리그 타점왕 (2020, 2021)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 2×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2021, 2022) |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 |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 (2018) |
도쿄돔 MVP 특별상 | 도쿄돔 MVP 특별상 (2018)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23 |
WBSC 프리미어12 | 2024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메달 | 2023 마이애미 금메달 (단체전) |
WBSC 프리미어12 메달 | 2024 은메달 (단체전) |
기타 경력 | |
해외 파견 | 히간테스 데 카롤리나 (2016) |
선수 정보 | |
참고 자료 | NPB.jp 일본 야구 기구 개인 연도별 성적 스포츠 호치: 4번 3루수를 잇는 남자 오카모토 가즈마 산케이 스포츠: 거인 오카모토, 사상 첫 22세 시즌 3할 30홈런 100타점 스포츠 호치: 거인 오카모토 가즈마, 5년 연속 30홈런, 왕정치, 마쓰이 히데키에 이어 구단 3번째, 우타자 최초 달성 |
일본어 표기 | 岡本 和真 |
2. 유소년 시절
3살 때부터 형과 캐치볼을 하며 야구에 친숙해졌고[9], 오조 시립 기타우치 소학교 1학년 때 연식 야구팀 "카인드"에 입단하여 투수 겸 내야수로 야구를 시작했다.[10][11] 3학년부터 클린업 타자, 4학년부터는 4번 타자를 맡았고, 투수로서는 3학년 때 최고 구속 100km를 기록했다. 이 무렵부터 지벤가쿠엔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텐리 고등학교를 꺾고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3살 때부터 형과 캐치볼을 하며 야구를 시작했고,[9] 오죠시립 기타우치 소학교 1학년 때 연식 야구팀 '카인드'에 입단하여 투수 겸 내야수로 활약했다.[10][11] 3학년 때부터 클린업 타자, 4학년 때부터는 4번 타자를 맡았으며, 투수로서는 3학년 때 최고 구속 100km/h를 기록했다.[10][11] 이 무렵부터 지벤가쿠엔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텐리 고등학교를 꺾고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0][11]
오카모토 가즈마는 2015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2군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2016년부터 1군 경기에 출전하기 시작했다. 2017년에는 좌익수로 포지션 변경을 시도했으나, 2018년부터 주전으로 도약하여 뛰어난 활약을 펼치기 시작했다.
오죠히가시 중학교에 진학하여[12] "카시하라 이소키 리틀 시니어"에서 투수 겸 3루수를 맡았고, 2학년 때 주축으로 출전한 전일본중학교야구선수권대회 자이언츠컵에서 4강에 진출했다. 같은 팀 1년 선배는 나중에 자이언츠에서 동료가 되는 쿠와하라 타쿠야였다.[13] 3학년 때는 오른쪽 팔꿈치 박리골절을 당한 가운데 시니어 리그 일본 대표 4번 타자로 전미 선수권 대회에 출전, 타율 5할을 넘는 활약으로 우승에 공헌했다. 중학생 시절에는 투수를 중심으로 활약했지만, 골절의 영향으로 고등학교 진학 시점에는 투수를 할 수 없는 상태였다.
2012년, 강호 20개교 정도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는 가운데 고향에 가까우면서 동경하던 지벤가쿠엔 고등학교에 입학했고, 1학년 봄부터 벤치 멤버로 활약하며 가을부터는 4번 타자를 맡았다. 1학년 때 연간 홈런은 8개, 2학년 때는 48개였다.[15] 3학년 때 제86회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1회전 미에 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는 대회 사상 19번째이자 대회 타이 기록인 1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제96회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에서는 1회전에서 당시 에이스였던 키시 준이치로가 속한 메이토쿠기주쿠와 대결하여 4-10으로 첫 경기에서 패배했다.[16] 고교 통산 73홈런을 기록했다. 대회 후에는 제10회 18U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발되어 4번 타자로 타율 .437, 5타점을 기록하며 준우승에 기여했다. 야구부에는 2년 선배로 아오야마 다이키가, 1년 후배로 히로오카 다이시가, 2년 후배로 무라카미 쇼주가 있었다.
3. 프로 입단 전
오죠히가시 중학교에 진학하여[12] '카시하라 이소키 리틀 시니어'에서 투수 겸 3루수를 맡았다. 2학년 때 주축으로 출전한 전일본중학교야구선수권대회 자이언츠컵에서 팀을 4강으로 이끌었다.[12] 같은 팀 1년 선배로는 나중에 자이언츠에서 동료가 되는 쿠와하라 타쿠야가 있었다.[13] 3학년 때는 오른쪽 팔꿈치 박리 골절을 당했지만, 시니어 리그 일본 대표 4번 타자로 전미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타율 5할을 넘는 활약으로 우승에 기여했다.[14]
2012년, 20여 개 강호 고등학교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지만, 고향과 가깝고 동경하던 지벤가쿠엔 고등학교에 입학했다.[14] 1학년 봄부터 벤치 멤버로 활약했고, 가을부터는 4번 타자를 맡았다.[14] 1학년 때 연간 홈런 8개, 2학년 때는 48개를 기록했다.[15] 3학년 때 제86회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1회전에서는 대회 사상 19번째이자 대회 타이 기록인 1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15] 제96회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 1회전에서는 메이토쿠기주쿠에게 패하며 탈락했다.[16] 고교 통산 73홈런을 기록했다.[17] 대회 후에는 제10회 18U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발되어 4번 타자로 활약하며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18]
2014년도 프로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라운드 단독 지명을 받았다.[19] 계약금 8000만엔, 연봉 1200만엔의 조건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20][21] 등번호는 당시 1군 감독이었던 하라 다츠노리의 제안으로 "'''38'''"번을 달게 되었다.[22]
4.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8년에는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연소(22세)로 3할-30홈런-100타점을 달성했고, 2019년에는 팀의 4번 타자로서 성장하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 홈런왕과 타점왕 2관왕을 달성했으며, 2021년에는 골든 글러브상까지 수상하며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았다.
2022년부터는 팀의 주장을 맡아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개인 통산 세 번째 홈런왕을 수상하며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2024년에는 1루수 부문 베스트나인과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4. 1. 2015년: 데뷔 및 적응기
오카모토 가즈마는 2015년 춘계 캠프를 2군에서 시작했다.[23] 캠프 종료 후 3월에 허리 통증, 공식전 개막 후 5월에는 하반신 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약 1개월간 전력에서 이탈했다.[24] 6월 29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열린 "사무라이 재팬 대학 일본 대표팀 대 NPB 선발팀" 경기에서 NPB 선발팀[25]의 "7번·3루수"로 선발 출전, 3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26]
8월 27일 입단 후 처음으로 출장 선수 등록을 했고,[27][28] 8월 28일 중일 드래곤즈전(도쿄 돔)에서 7회말 다카기 유토의 대타로 공식전에 데뷔, 2루수 뜬공으로 물러났다.[29][30][31] 9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초 사카모토 하야토의 대타로 출전, 스나다 타케키에게서 좌익 폴대 옆으로 2점 홈런을 쳐 공식전 첫 안타·첫 타점·첫 홈런을 기록했다.[32] 이는 마쓰이 히데키 이후 22년 만에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졸 신인 야수가 공식전에서 홈런을 기록한 것이며, 대타 홈런으로는 구단 사상 최연소(19세 2개월) 기록이다.[33][34] 9월 19일, 무라타 슈이치의 부상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전(진구)에 "7번·3루수"로 공식전 첫 선발 출전, 5회초 출루 후 오를란도 로만을 상대로 공식전 첫 도루(2루)를 기록했다(포수: 나카무라 유헤이).[35][36][37]
2015년 1군 공식전 성적은 17경기 출전, 타율 .214, 1홈런, 4타점이었고, 2군에서는 69경기 출전, 타율 .258, 1홈런, 16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타이완에서 열린 윈터리그에 참가, 19경기에서 타율 .383, 3홈런, 20타점으로 타점왕을 차지했다.[38] 12월 22일, 200만엔 증가한 추정 연봉 14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9]
4. 2. 2016년: 2군에서의 성장과 1군 기회
사이토 마사키|사이토 마사키일본어 2군 감독의 방침에 따라 이스턴 리그에서 4번 타자로 고정되었다.[40] 이 해부터 2군 타격 코치를 맡은 니오카 토모히로|니오카 도모히로일본어의 제안으로 타석이 끝날 때마다 메모를 하는 습관을 들여, 매일 니오카에게 제출했다.[41]
1군 공식 경기에서는 5월 27일 대 한신 타이거스 전(도쿄 돔)에서 "6번·3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시즌 첫 출전을 기록했다.[42] 7월 14일 프레시 올스타 게임 (구라시키 마스캇 스타디움)에서는 이스턴 리그 선발팀의 "4번·1루수"로 풀타임 출전, 4타수 2안타, 3타점을 기록하고 팀의 유일한 홈런[43]을 쳐 승리에 공헌하며 MVP로 선출되었다.[44]
2군 이스턴 리그 우승으로 맞이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팜 일본 선수권(10월 1일·KIRISHIMA 산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에서도 4번 타자로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을 기록하여 MVP로 선출되었다.
최종적으로 2군에서 타율 .261, 18홈런, 74타점을 기록하여 타점왕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정규 시즌 전체로는 3경기 출전에 그쳤다. 시즌 종료 후에는 팀 동료인 다카기, 히라라 켄타로와 함께 푸에르토리코의 윈터리그에 파견되었다.[45] 귀국 후 12월 25일에 2살 연상의 여성과 결혼했고,[46] 12월 26일에는 200만엔 감소한 추정 연봉 12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47]
4. 3. 2017년: 포지션 변경 시도와 어려움
岡本 和真|오카모토 가즈마일본어는 내야 수비에 과제가 있다는 점, 그리고 구단이 케이시 매기를 영입한 것을 배경으로 수뇌부로부터 좌익수 수비를 지시받았다.[48][49] 그해 처음으로 개막 1군 엔트리에 등록되어, 4월 7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고시엔)에서 "7번·좌익수"로 선발 출전, 1회초 2사 만루 상황에서 2점 적시타를 치며 공식전 559일 만에 타점을 기록했다. 5회초에는 세 번째 타석에서 안타를 추가하며 공식전 첫 멀티 안타(2안타)를 달성했다.[50]
그러나 이후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내며 타율 .270, 10홈런, 55타점을 기록했고, 1군에서는 15경기 출전에 타율 .194, 0홈런, 2타점으로 부진했다. 11월 28일, 연봉은 그대로인 추정 1200만 엔에 계약을 갱신했고, 같은 해 은퇴한 무라타 슈이치의 등번호 '''25'''번을 물려받았다.[51]
4. 4. 2018년: 주전 도약 및 3할-30홈런-100타점 달성
2018년에는 춘계 캠프에서 타격 코치인 니오카 도모히로의 조언에 따라 그립 위치를 낮추고 배트를 세우는 자세로 교정했다.[52][53] 오픈전에서 좋은 결과를 남기자,[54] 전년까지 주전 1루수였던 아베 신노스케로부터 주전 자리를 이어받아,[55] 3월 30일 대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6번·1루수"로 2년 연속 개막 선발 출전을 했다. 3월 31일 개막 2차전에서는 4타수 4안타(1홈런), 5타점으로 프로 첫 맹타상을 기록했고, 다음 날인 4월 1일 경기에서도 역전 3점 홈런을 쳤다.[56]
6월 2일 오릭스 버팔로스전에서는 제89대 4번 타자로 출전하여, 제1타석에서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이 되는 좌월 솔로 홈런을 날렸다.[57] 그러나 6월 하순부터 7월 5일 DeNA전에서 이마나가 쇼타로부터 2루타를 치기까지 32타석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겪었지만,[58][59] 이후 시즌 종료까지 4번 타자로 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전 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9, 33홈런, 100타점을 기록,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연소인 22세 시즌에 "3할·30홈런·100타점"을 달성했다.[60] 오프 시즌 베스트나인 투표에서는 1루수 부문에서 174표를 얻은 다얀 비시에도에 이어 95표로 2위, 3루수 부문에서 250표를 얻은 미야자키 토시로에 이어 23표로 2위를 기록하며 수상을 놓쳤다.[65] 11월에 실시된 2018년 한미 야구에서는 구단에서 유일하게 대표로 선출되어, 14일 제5차전에서 주니오르 게라로부터 솔로 홈런을 쳤다.[66] 12월 19일, 6800만엔 증가한 추정 연봉 80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67]
4. 5. 2019년: 4번 타자로서의 성장과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수상
오카모토 가즈마일본어는 2019년에 "4번·1루수"로 처음으로 개막 4번 타자를 맡았다. 전반전은 타율이 .250 전후로 좋지 않아 감독인 하라 다쓰노리로부터 "빅 베이비"라고 놀림을 당하며 4번 타자에서 제외되는 경기도 있었다.[68] 8월 6일의 대 주니치 드래건스 경기 전, 어드바이저로 팀에 동행하고 있던 워렌 크로마티의 조언에 따라, 다리 사용법과 타구 방향의 의식을 다시 확인[69]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8월에는 타율 .301, 9홈런, 26타점을 기록하는 등 좋아졌다. 9월 20일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는 목표로 하고 있던 30홈런을 기록했다.[70] 최종적으로 타율 .265, 팀 2위인 31홈런, 팀 최다 타이인 94타점을 기록하여 2년 연속 전 경기 출전도 달성했다.
또한 이 해 선발로 나선 수비 포지션은 1루 69경기, 3루 56경기, 좌익 17경기 등 4번 타자이면서 팀 사정에 맞춰 여러 포지션을 소화했고,[72], 1루 수비에서는 무실책으로 처음으로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15타수 8안타, 3홈런, 7타점의 활약으로 CS 파이널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23세의 MVP 수상은 당시 24세에 수상한 스가노 도모유키를 제치고 센트럴 리그 최연소 기록이 되었다.[73] 그러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부진하여, 제4차전에서 로베르토 수아레스로부터 2점 홈런을 치지만 역전은 할 수 없었고, 팀도 4연패를 당하며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쳤다.
시즌 중 여러 포지션을 소화했기에 오프의 베스트나인 투표에서는 1루수 부문에서 48표, 3루수 부문에서 101표, 외야수 부문에서 1표로 표가 분산되어 수상을 놓쳤다.[74] 12월 3일, 6000만엔 증가한 추정 연봉 1.4억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75]
4. 6. 2020년: 홈런왕, 타점왕 2관왕 달성
2020년에는 개막 직후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8월 이후 컨디션이 점차 나빠졌다. 9월 16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는 허리 통증으로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고, 마루 요시히로가 요미우리 자이언츠 제90대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다. 이 경기에서 오카모토는 사카모토 하야토와 함께 벤치에서 대기하며 경기에 출전하지 않아, 2017년 10월 3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전부터 이어져 온 연속 경기 출전 기록이 359경기에서 중단되었다.[76]
시즌 막판에는 오야마 유스케와 홈런 경쟁을 벌였고, 한때 선두 자리를 빼앗기기도 했지만 결국 역전에 성공했다. 최종 성적은 타율 .275, 31홈런, 97타점을 기록했으며, 처음으로 홈런왕[78]과 타점왕 타이틀을 동시에 획득했다.[77] 요미우리 일본인 선수가 홈런왕을 차지한 것은 2002년 마쓰이 히데키 이후 18년 만이며, 일본인 우타자로 한정하면 1961년 나가시마 시게오 이후 59년 만이었다. 타점왕 역시 요미우리 일본인 선수로는 2012년 아베 신노스케 이후 8년 만이며, 일본인 우타자로는 1983년 하라 다쓰노리 이후 37년 만이었다.
이 해에는 허리 통증으로 결장한 2경기를 제외하고 모든 경기에서 4번 타자로 활약했으며, 이전까지 여러 포지션을 오가던 것과 달리 시즌 내내 3루수로 고정되었다. 시즌 후에는 센트럴리그 3루수 부문에서 처음으로 베스트나인에 선정되었다. 12월 16일에는 7000만 엔 인상된 추정 연봉 2억 1000만 엔에 계약을 갱신했다.[79]
4. 7. 2021년: 2년 연속 홈런왕, 타점왕 2관왕 달성 및 골든 글러브 수상
2021년 시즌에도 오카모토 가즈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4번 타자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시즌 초반에는 타율 .249로 다소 부진했지만, 꾸준히 타격감을 끌어올려 7월과 8월에는 월간 타율 3할을 넘기며 활약했다. 그러나 9월에 다시 2할대로 타율이 하락했고, 10월에는 홈런 1개에 그치는 등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시즌 막판에는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홈런과 타점 부문에서 맹추격을 당하기도 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앞두고 왼쪽 옆구리 부상을 당해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정규 시즌에서는 타율 .265, 39홈런, 113타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홈런왕과 타점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역사상 1977년 왕정치 이후 44년 만에 나온 2년 연속 홈런·타점 2관왕 기록이며, 우타자로는 최초의 기록이었다.[81] 또한, 143경기 모두 4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전 경기 4번 선발 출전" 기록을 달성했고,[80]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81] 시즌 후에는 9000만 엔이 인상된 추정 연봉 3억 엔에 계약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다.[82]
4. 8. 2022년: 주장 임명
2022년에는 오픈전에서 3월 18일의 지바 롯데 마린즈전에서 사사키 로키로부터 만루 홈런을 치는 등 12구단 톱인 7홈런을 기록했다.[83] 개막 후에도 홈런과 타점을 양산하여 4월 29일의 한신전에서는 12구단 최고 속도인 10호 홈런을 쳤다. 요미우리 선수가 12구단 최고 속도인 10호 홈런을 친 것은 2004년 아베 신노스케 이후 18년 만이며, 우타자로 한정하면 1982년 하라 다쓰노리 이후 40년 만이었다.[84] 5월 29일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는 통산 150호 홈런을 기록했다.[85] 25세 10개월에서의 통산 150홈런은 요미우리의 우타자로서는 최연소 기록이었다.[86]
여름부터는 부진에 빠져 8월 11일의 중일전부터 나카타 쇼에게 4번을 양보하고 2019년 9월 27일 이후 3년 만에 4번 이외의 타순에 서게 되었지만,[87] 9월 24일의 같은 경기에서는 구단 사상 3번째이며 우타자로서는 구단 사상 처음으로 5년 연속 30홈런을 기록했다.[88] 그러나 여름 이후의 부진이 길어져 타율, 홈런 수, 타점, OPS 모두 주전 고정 후 시즌에서는 최저 수치를 기록했고 팀도 자신의 주전 고정 이후로는 CS 출전을 처음으로 놓치게 되었다. 또한 연속 홈런왕도 무라카미가 56홈런을 쳐 무려 26개 차로 놓치게 되었다.
11월 14일, 2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89] 11월 23일에 열린 팬 페스타에서 하라 감독으로부터 다음 해부터 사카모토 하야토에 이어 주장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90] 12월 6일, 3000만엔 감소한 추정 연봉 2.7억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91]
4. 9. 2023년: 3번째 홈런왕 수상
2023년, 오카모토 가즈마는 개막을 4번 타자로 맞이했다. 타순 변동이 많았던 팀 상황에서 3할을 전후하는 타율을 기록하며 꾸준히 4번 타자로 활약하며 홈런을 양산했다. 세·퍼 교류전에서는 타율 .383, 8홈런, 19타점의 뛰어난 성적으로 교류전 MVP를 처음으로 수상했다.[92]
7월 5일, 중일 드래곤즈와의 경기(반테린 돔 나고야)에서는 1회 무사 만루 상황에서 다카하시 코토를 상대로 하라 다쓰노리 이후 처음으로 4번 타자의 1회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93] 8월 29일 발열로 인해 특례 2023으로 등록 말소되었으나,[94] 9월 1일 1군에 복귀한 후 같은 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의 경기에서 아즈마 카츠키로부터 통산 200홈런이 되는 35호 홈런을 기록했다.[95]
9월 15일 중일전에서는 자신의 최다 기록을 경신하는 40호 홈런을 쳤다.[96] 27세에 40홈런을 달성한 것은 구단의 우타자 중 최연소 기록이며, 순수 우타자로는 2019년 사카모토 하야토에 이어 두 번째이다. 홈런왕 경험이 있는 구단의 순수 우타자 중에서는 오카모토가 처음이었다.
수비에서는 개막 초반에는 3루수로 기용되었으나, 나카타 쇼의 이탈 이후 3루 수비에 대한 하라 다쓰노리 감독의 비판을 받았다. 이후 신인 몬와키 마코토가 3루수로 기용되면서 오카모토는 4년 만에 1루수나 좌익수를 맡게 되었다.[97] 나카타 복귀 후에도 이러한 경향은 이어졌고, 9월에 사카모토가 3루로 전향한 후에는 대부분 1루수로 출전했다.
결국, 결장한 3경기를 제외한 140경기 모두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타율 .278, 41홈런, 93타점을 기록하며 2년 만에 세 번째 홈런왕을 획득했다.[98] 이 해 양대 리그에서 30홈런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오카모토와 무라카미 무네타카(31홈런)뿐이었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그레고리 포랑코, 콘도 켄스케, 아사무라 에이토가 기록한 26홈런이 최다였다. 또한 41홈런은 2004년 고쿠보 히로키가 기록한 구단의 일본인 우타자 시즌 최다 홈런 기록과 타이기록이었다. OPS .958은 리그 1위이자 개인 최고 기록이었다.
같은 해 베스트나인 투표에서는 1루수 부문 50표, 3루수 부문 131표, 외야수 부문 2표로 표가 분산되어 수상을 놓쳤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3루수 부문에서는 9표 차이로 미야자키 토시로가 선정되었다.[99] 12월 6일, 1억 5000만엔 증가한 추정 연봉 4억 20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00]
4. 10. 2024년: 1루수 베스트나인, 골든 글러브 수상
2024년에는 143경기 모두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다.[101] 3월 30일 한신과의 경기에서 시즌 첫 홈런을 쳤고,[102] 6월 27일 DeNA전에서는 요미우리 4번 타자로서 사상 4번째로 통산 200홈런을 달성했다.[103] 8월 21일 히로시마전에서는 7년 연속 20홈런을 기록했다.[104] 9월과 10월에는 월간 MVP를 수상했고,[108] 최종적으로 타율 .280, 27홈런, 83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에는 1루수 부문에서 처음으로 베스트나인과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110] 요미우리에서 1루수로 베스트나인을 수상한 것은 1979년 왕정치 이후 45년 만이었다.[111]
5. 국가대표
오카모토 가즈마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18 MLB 일본 올스타 시리즈[1]와 2019년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2],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했다.
5. 1.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orld Baseball Classic|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영어 (WBC)에서 오카모토 가즈마는 2023년 WBC 일본 대표팀에 발탁되어 맹활약하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6. 플레이 스타일
오카모토 가즈마는 타석에서 다양한 등장곡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그가 사용했던 등장곡 목록이다.
연도 | 곡명 | 아티스트 | |
---|---|---|---|
2015 | Message | 나오토 인티라이미 | |
2016 | 파도타기 조니 | 쿠와타 케이스케 (2022년 8월부터 4번째 타석) | |
흰토끼풀 | 쇼난노카제 | ||
2017년 개막 ~ 2018년 중반 | 뜨거운 녀석에게 불을 붙여라 | feat. MUNEHIRO | GOKIGEN SOUND |
2017년 중반 | Dirty Work | Austin Mahone | |
2017년 중반 ~ 폐막 | How We Do(Party) | RITA ORA | |
2018년 오픈전 | Like OOH-AHH | TWICE | |
2018년 개막 ~ 중반 | I AM THE BEST -KR Ver.- | 투애니원 | |
2018년 5월 13일 | 엄마에게 | AI (어머니의 날 한정) | |
2018년 중반 | Wake Me Up | TWICE | |
니혼 개혁 feat. 반야 & CHEHON | SPICY CHOCOLATE | ||
BDZ | TWICE | ||
I'm gonna be a star | TWICE | ||
2018년 중반 ~ 폐막 | 장년 점프 | 사잔 올스타즈 | |
2018년 (사무라이 재팬 경기일) | YES or YES | TWICE | |
2019년 개막 ~ 중반 | AIR -KR Ver.- | WINNER | |
더티 올드 맨 〜사라바 나츠요〜 | 사잔 올스타즈 | ||
What is love? -Japanese version- | TWICE | ||
100만 년의 행복!! | 쿠와타 케이스케 | ||
2019년 중반 | 슈라바★라★밤바 SHULABA-LA-BAMBA | 사잔 올스타즈 | |
FANCY | TWICE | ||
Breakthrough | TWICE | ||
I Like It | Cardi B, Bad Bunny & J Balvin | ||
록큰롤 슈퍼맨 ~Rock'n Roll Superman~ | 사잔 올스타즈 | ||
채 ~Aja~ | 사잔 올스타즈 | ||
2019년 중반 ~ 폐막 | 당신만을 〜Summer Heartbreak〜 | 사잔 올스타즈 | |
희망의 수레바퀴 | 사잔 올스타즈 (2022년 7월까지 1번째 타석, 8월부터 2번째 타석) | ||
2020년 개막 ~ 2021년 9월 하순 | 스마일〜맑게 개인 하늘처럼〜 | 쿠와타 케이스케 | |
2020년 개막 ~ 2021년 중반 | 무한대(INFINITY) | JO1 | |
2020년 개막 ~ 중반 | 챔피언 로드(Album Ver.) | 응다호&페케탄 from fischer's | |
2020년 중반 | How You Like That | 블랙핑크 | |
애달픈 가슴에 바람이 불었었다 | 사잔 올스타즈 | ||
Balls Out feat. MIYACHI & Shurkn Pap | ¥ellow Bucks | ||
2020년 중반 ~ | 영광의 사나이 | 사잔 올스타즈 (2022년부터 5번째 타석) | |
2020년 일본 시리즈 제2전 | Kill 'Em With Success | Mike WiLL Made-It | |
2021년 중반 | Born To Be Wild | JO1 | |
2020년 중반 ~ 2021년 8월 중반 | Dingga | 마마무 | |
2021년 8월 하순 ~ | 염의 성가대 [Choir] | 쿠와타 케이스케 (2022년 7월까지 2번째 타석, 8월부터 3번째 타석) | |
2021년 10월 중반 | 호텔 퍼시픽 | 사잔 올스타즈 | |
2021년 10월 중반 ~ 폐막 | 그대에게 작별을 | 쿠와타 케이스케 | |
2022년 오픈전 ~ 2022년 중반 | Soul 코브라 트위스트〜영혼의 몸부림 | 쿠와타 케이스케 | |
2022년 오픈전 | Still D.R.E. | 닥터 드레 | |
2022년 4월 | REAL | JO1 | |
2022년 4월 ~ 5월 | YOLO-konde | JO1 | |
2022년 5월 ~ 8월 | Shine A Light | JO1 | |
2022년 8월 ~ | 츄키츄키 허리케인 | 나니와 단시 (2022년부터 1번째 타석) |
이처럼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등장곡으로 활용하는 모습에서 그의 폭넓은 음악적 취향을 엿볼 수 있다. 특히 TWICE와 사잔 올스타즈의 곡을 자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인간적인 면모
오카모토 가즈마는 야구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는 달리, 평소에는 쾌활하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팬들과의 소통에도 적극적이며, 경기장 밖에서는 다양한 취미를 즐기는 등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K-POP과 한국 드라마를 즐겨 보는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 등장곡으로 트와이스, 투애니원, WINNER, 블랙핑크, 마마무 등 K-POP 아티스트들의 곡을 다수 사용하였다.
8. 상세 정보
오카모토 가즈마는 3살 때부터 야구를 시작하여, 초등학교 시절부터 투수와 타자로 활약했다. 지벤가쿠엔 고등학교 진학을 목표로 야구에 매진했으며, 중학교 시절에는 전일본중학교야구선수권대회 자이언츠컵 4강 진출 및 전미 선수권 대회 우승에 공헌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통산 73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주목받았고, 201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라운드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했다.
프로 입단 후, 2015년에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2군 경기와 윈터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 2016년에는 2군에서 4번 타자로 활약하며 타점왕을 차지했고, 2017년에는 1군에 데뷔하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18년에는 주전 1루수로 자리 잡으며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연소(22세)로 "3할·30홈런·100타점"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했다.
이후 꾸준히 주전으로 활약하며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 센트럴리그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2023년에는 개인 통산 3번째 홈런왕을 획득했다. 2022년부터 팀의 주장을 맡고 있으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 신체 조건: 193cm, 100kg[100]
- 프로 입단: 2014년 드래프트 1순위 (요미우리 자이언츠)
- 초년도 연봉: 120만엔[20]
- 통산 200홈런 달성: 2023년 9월 1일 (27세 2개월, 역대 6위, 구단 역대 3위 최연소 기록)[169]
등번호 변천사:
8. 1. 출신 학교
- 지벤가쿠엔 고등학교
- 오죠히가시 중학교
- 오죠시립 기타우치 소학교
8. 2. 선수 경력
- 요미우리 자이언츠(2015년~)
; 2015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라운드 단독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9] 계약금 8000만 엔, 연봉 1200만 엔의 조건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20][21] 등번호는 당시 1군 감독이었던 하라 다쓰노리의 제안으로 "'''38'''"번을 달게 되었다.[22]
춘계 캠프를 2군에서 시작했고, 캠프 종료 후 3월에 허리 통증, 공식전 개막 후 5월에는 하반신 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약 1개월간 전력에서 이탈했다.[24]
9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공식전 통산 3타석 만에 스나다 타케키로부터 좌익 폴대 옆으로 2점 홈런을 쳐 공식전 첫 안타·첫 타점·첫 홈런을 기록했다.[32]
1군 공식전에서는 1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4, 1홈런, 4타점을 기록했다. 2군에서는 6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58, 1홈런, 16타점이었다.
시즌 종료 후 타이완에서 개최된 윈터리그에 참가하여 19경기에 출전, 타율 .383, 3홈런, 20타점으로 타점왕 타이틀을 획득했다.[38]
; 2016년
이스턴 리그에서는 2군 감독인 사이토 마사키의 방침에 따라 4번 타자로 고정되었다.[40]
7월 14일 프레시 올스타 게임(쿠라시키 마스캇 스타디움)에서 이스턴 리그 선발팀의 "4번·1루수"로 풀타임 출전, 4타수 2안타, 3타점을 기록하고 팀 유일의 홈런을 쳐 MVP로 선출되었다.[44]
2군 이스턴 리그 우승으로 맞이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팜 일본 선수권(10월 1일·KIRISHIMA 산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에서도 4번 타자로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을 기록하여 MVP로 선출되었다.
2군에서 타율 .261, 18홈런, 74타점을 기록하여 타점왕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정규 시즌 전체로는 3경기 출전에 그쳤다.
; 2017년
처음으로 개막 1군 등록을 달성했다.
4월 7일, 대 한신 타이거스전(고시엔)에서 2점 적시타를 쳐 공식전 559일 만의 타점을 기록했고, 5회초 제3타석에서도 안타를 쳐 처음으로 공식전 멀티 안타(2안타)를 달성했다.[50]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내 타율 .270, 10홈런, 55타점을 기록했고, 1군 성적은 15경기 출전, 타율 .194, 0홈런, 2타점이었다.
; 2018년
3월 30일, 대 한신전에서 "6번·1루수"로 2년 연속 개막 선발 출전을 했다.
6월 2일, 오릭스 버팔로스전에서 제89대 4번 타자로 출전하여, 제1타석에서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이 되는 좌월 솔로 홈런을 날렸다.[57]
최종적으로 전 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9, 33홈런, 100타점으로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연소인 22세 시즌에 "3할·30홈런·100타점"을 기록했다.[60]
; 2019년
"4번·1루수"로 처음으로 개막 4번 타자를 맡았다.
최종적으로 타율 .265, 팀 2위인 31홈런, 팀 최다 타이인 94타점을 기록하여 2년 연속 전 경기 출전도 달성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15타수 8안타, 3홈런, 7타점의 활약으로 CS 파이널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23세 수상은 당시 24세에 수상한 스가노를 제치고 세 리그 최연소 기록이 되었다.[73]
; 2020년
최종적으로 타율 .275, 31홈런, 97타점을 기록했고, 처음으로 타격 타이틀인 홈런왕[78]과 타점왕 2관왕을 획득했다.
오프에는 세 리그 3루수 부문에서 처음으로 베스트나인에 선출되었다.
; 2021년
모두 자기 최다인 39홈런, 113타점을 기록하여 2년 연속 홈런과 타점 2관왕에 올랐다.
공식전 143경기 모두 "4번·3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처음으로 "전 경기 4번 선발 출전"도 달성했고[80],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81]
; 2022년
오픈전에서 12구단 톱인 7홈런을 기록했다.[83]
5월 29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 통산 150호 홈런을 기록했다.[85] 25세 10개월에서의 통산 150홈런은 요미우리의 우타자로서는 최연소 기록이었다.[86]
11월 14일, 2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89]
; 2023년
세·퍼 교류전에서 타율 .383, 8홈런, 19타점의 성적으로 처음으로 교류전 MVP를 수상했다.[92]
9월 1일, 대 DeNA전에서 아즈마 카츠키로부터 통산 200홈런이 되는 35호 홈런을 기록했다.[95]
9월 15일, 대 중일전에서 자기 최다를 갱신하는 40호 홈런을 쳤다.[96]
최종적으로 140경기 모두 4번으로 선발 출전하여 타율 .278, 41홈런, 93타점으로 2년 만에 세 번째 홈런왕을 획득했다.[98]
; 2024년
143경기 모두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했다.[101]
6월 27일, 대 DeNA전(요코하마)에서 요미우리의 4번 타자로서 사상 4번째가 되는 통산 200홈런을 달성했다. 27세 11개월에서의 달성은 나가시마 시게오의 32세 5개월을 갱신하는 구단 최연소 기록이 되었다.[103]
최종적으로 7년 연속 30홈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타율 .280, 27홈런, 83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세 리그의 1루수 부문에서 처음으로 베스트나인과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110]
; 국가 대표 경력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
8. 3.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오카모토 가즈마는 올스타에 두 차례 선정되었으며, 2019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2020년 센트럴 리그 홈런 및 타점 부문 1위를 기록했다.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18 MLB 일본 올스타 시리즈[1]와 2019년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2]에 참가했다.8. 3. 1. 타이틀
- 홈런왕: 3회(2020년, 2021년, 2023년)
- 타점왕: 2회(2020년, 2021년)
- 올스타 2회 선정(2018년, 2019년)
-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1회(2019년)
- 골든 글러브상 : 3회 (2021년, 2022년, 2024년)
- 베스트나인 : 3회 (2020년, 2021년, 2024년)
- 세·퍼 교류전 MVP: 1회 (2023년)
- 월간 MVP: 3회 (2019년 8월, 2023년 6월, 2024년 9·10월)
8. 3. 2. 수상
다음은 오카모토 가즈마 선수의 수상 경력이다.수상 내용 | 횟수 | 비고 |
---|---|---|
베스트 나인 | 2회 | 2020년(3루수 부문), 2024년(1루수 부문) |
골든 글러브상 | 3회 | 2021년, 2022년(3루수 부문), 2024년(1루수 부문) |
월간 MVP | 3회 | 2022년 3·4월[161], 2023년 6월[162], 2024년 9·10월[163] (야수 부문) |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 1회 | 2019년 |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최우수 선수상(MVP) | 1회 | 2023년 |
월간 JERA 센트럴 리그 AWARD | 1회 | 2023년 8월 |
월간 사요나라상 | 1회 | 2021년 5월[164] |
올스타전 감투 선수상 | 1회 | 2023년 2차전 |
프레시 올스타전 MVP | 1회 | 2016년 |
팜 일본 선수권 MVP | 1회 | 2016년 |
도쿄 돔 MVP | 2회 | 2021년, 2023년 |
도쿄 돔 MVP 특별상 | 1회 | 2018년 |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 플래시상 | 1회 | 2018년 |
- 올스타 2회 선정 (2019년, 2023년)
- 2019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 2020년 센트럴 리그 홈런 및 타점 부문 1위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18 MLB 일본 올스타 시리즈[1], 2019년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2] 참가.
8. 4. 개인 기록
오카모토 가즈마는 올스타에 5회 선정되었고(2018년, 2019년, 2021년, 2023년, 2024년),[173] 2019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73]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으로 센트럴리그 홈런왕과 타점왕 2관왕을 차지했다.[78] 특히 2021년에는 개인 최다 기록인 39홈런과 113타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1977년 왕정치 이후 44년 만의 2년 연속 홈런·타점 2관왕이자, 우타자로는 사상 첫 기록이었다.[98] 2018년에는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연소(22세)로 "3할·30홈런·100타점"을 기록하기도 했다.[60] 2023년에는 개인 통산 3번째 홈런왕을 획득했다.[98]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18 MLB 일본 올스타 시리즈[1]와 2019년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에 참가했다.[2]
8. 4. 1. 첫 기록
- 첫 출장·첫 타석: 2015년 8월 28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1차전(도쿄 돔), 7회말에 다카기 하야토의 대타로 출장, 소부에 다이스케로부터 2루 뜬공[165]
- 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 2015년 9월 5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초에 다카기 하야토의 대타로 출장, 스나다 요시키로부터 좌월 2점 홈런
- 첫 선발 출장: 2015년 9월 1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7번·3루수로 선발 출장
- 첫 도루: 상동, 5회초에 2루 안착(투수: 올랜도 로만, 포수: 나카무라 유헤이)
8. 4. 2. 기록 달성 경력
기록 | 달성일 | 상대팀 | 구장 | 비고 |
---|---|---|---|---|
통산 100홈런 | 2021년 4월 27일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메이지 진구 야구장 | 역대 300번째, 24세 9개월에 달성하여 요미우리 구단 역대 3위 최연소 기록[166][167] |
통산 150홈런 | 2022년 5월 29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삿포로 돔 | 역대 178번째, 25세 10개월에 달성하여 역대 10위, 구단 역대 3위 최연소 기록[168] |
통산 200홈런 | 2023년 9월 1일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요코하마 스타디움 | 역대 114번째, 27세 2개월에 달성하여 역대 6위, 구단 역대 3위 최연소 기록[169] |
통산 1000경기 출장 | 2024년 9월 25일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요코하마 스타디움 | 역대 536번째[170] |
통산 1000안타 | 2024년 9월 27일 | 주니치 드래건스 | 도쿄 돔 | 역대 321번째[171] |
8. 4. 3. 기타 기록
- 첫 회 4번 타자로서 만루 홈런: 2023년 7월 5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3차전(반테린 돔 나고야) 1회 초에 다카하시 히로토에게서 침. 센트럴 리그 역대 12명째이자 13번째.[172]
- 6년 연속 시즌 30홈런 이상(2018년~2023년): 역대 9위[172]
- 올스타전 출장: 5회(2018년, 2019년, 2021년, 2023년, 2024년) ※2022년에도 선출되었으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출전 포기.[173]
- 도쿄 돔 통산 100홈런: 2023년 9월 17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3차전(도쿄 돔) 6회 말에 고자와 레이지에게서 좌월 솔로 홈런으로 달성. 역대 8번째, 395경기 만에 달성하여 역대 최고 속도.[174][175]
8. 5.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5년 | 요미우리 | 17 | 31 | 28 | 2 | 6 | 0 | 0 | 1 | 9 | 4 | 2 | 0 | 0 | 0 | 2 | 0 | 1 | 4 | 3 | .214 | .290 | .321 | .612 |
2016년 | 3 | 10 | 10 | 0 | 1 | 1 | 0 | 0 | 2 | 0 | 0 | 0 | 0 | 0 | 0 | 0 | 0 | 2 | 2 | .100 | .100 | .200 | .300 | |
2017년 | 15 | 35 | 31 | 2 | 6 | 1 | 0 | 0 | 7 | 2 | 0 | 0 | 0 | 0 | 4 | 0 | 0 | 10 | 0 | .194 | .286 | .226 | .512 | |
2018년 | 143 | 616 | 540 | 82 | 167 | 26 | 0 | 33 | 292 | 100 | 2 | 1 | 0 | 0 | 72 | 1 | 4 | 120 | 11 | .309 | .394 | .541 | .935 | |
2019년 | 143 | 628 | 555 | 84 | 147 | 29 | 0 | 31 | 269 | 94 | 3 | 0 | 2 | 3 | 62 | 3 | 6 | 132 | 15 | .265 | .343 | .485 | .828 | |
2020년 | 118 | 500 | 440 | 79 | 121 | 26 | 0 | 31 | 240 | 97 | 2 | 0 | 0 | 0 | 55 | 2 | 5 | 85 | 10 | .275 | .362 | .545 | .907 | |
2021년 | 143 | 592 | 521 | 71 | 138 | 19 | 1 | 39 | 276 | 113 | 1 | 1 | 0 | 7 | 57 | 4 | 7 | 108 | 16 | .265 | .341 | .530 | .871 | |
2022년 | 140 | 589 | 520 | 63 | 131 | 21 | 1 | 30 | 244 | 82 | 1 | 1 | 0 | 2 | 58 | 7 | 9 | 94 | 11 | .252 | .336 | .469 | .805 | |
2023년 | 140 | 589 | 503 | 83 | 140 | 31 | 0 | 41 | 294 | 93 | 0 | 1 | 0 | 6 | 72 | 10 | 8 | 111 | 10 | .278 | .374 | .584 | .958 | |
2024년 | 143 | 611 | 535 | 70 | 150 | 37 | 0 | 27 | 268 | 83 | 1 | 1 | 0 | 5 | 66 | 10 | 5 | 97 | 5 | .280 | .362 | .501 | .863 | |
통산: 10년 | 1005 | 4201 | 3683 | 536 | 1007 | 191 | 2 | 233 | 1901 | 668 | 12 | 5 | 2 | 23 | 448 | 37 | 45 | 763 | 83 | .273 | .357 | .516 | .873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8. 6. 연도별 타격 성적 소속 리그내에서의 순위
연도 | 나이 | 리그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출루율 | 볼넷 |
---|---|---|---|---|---|---|---|---|---|---|---|
2015 | 19 | 센트럴 리그 | - | - | - | - | - | - | - | - | |
2016 | 20 | - | - | - | - | - | - | - | - | - | |
2017 | 21 | - | - | - | - | - | - | - | - | - | |
2018 | 22 | - | 3위 | - | - | 6위 | 2위 | - | 10위 | - | |
2019 | 23 | - | 8위 | 7위 | - | 6위 | 4위 | - | - | 7위 | |
2020 | 24 | - | 9위 | 7위 | - | 1위 | 1위 | - | - | 7위 | |
2021 | 25 | - | 9위 | - | - | 1위 | 1위 | - | - | 9위 | |
2022 | 26 | - | - | - | - | 2위 | 5위 | - | - | 5위 | |
2023 | 27 | - | 7위 | 3위 | - | 1위 | 2위 | - | 5위 | 3위 | |
2024 | 28 | 10위 | 8위 | 1위 | - | 2위 | 2위 | - | 8위 | 3위 |
- '''굵은 글씨 연도'''는 타석 기준 도달 연도
- '-'는 10위 미만 (타율, OPS는 타석 기준 미달 시에도 '-'로 표기)